
일을 대하는 자세
회사에서 얻을 것은 월급이 다가 아니다. 회사를 위해서 일을 한다기보다는 자기 자신의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여 일해야 한다. 그 일하는 순간 하나하나가 내가 미래에 일을 대하는 순간의 이용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는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헤어져야 하는 순간이 온다. 그 순간에 지금 이 시점을 후회하지 않기 위해 더욱 그런 자세와 마인드는 필수적이다.
어느 순간부터 나는 회사에서 일하는 것과, 야근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가 상당히 줄었다. 일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물론 사람들이 좋은 것도 있다. 하지만 사람은 바뀌지 않았고 온전히 나의 마음가짐이 바뀜으로 인해서 삶이 편안해졌다. 과거에는 태도가 수동적이었다. 처음 일을 할 때에는 업무 방식을 알려주었으면 좋겟다라는 생각이 강했지만, 하면 할수록 체계화된 업무에서는 자신의 스타일을 적용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이제는 내 방식을 간섭하지 않는게 심적으로 편안하다. 어차피 사람마다 일을 하는 방식이 전부 다르고 그 것을 해결하는 것은 온전히 자기 몫이다. 예전에는 업무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약간 부정적이었던 것 같다. 아니, 업무뿐만 아니라 모든 일들을 대할 때, ‘안되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이 마음속에 남아서 맴돌았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게 생각하려고 노력한다. 가능하다고 보고 진행하는 거랑 불가능하다고 보고 진행하는 것은 결과물이 다를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된다는 마음가짐으로 일을 대하니, 상당히 많은 일들이 가능한 것을 눈으로 확인했다. 이게 긍정적인 사고방식의 효과인가?
퇴사의 적절한 시기
성장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거나, 내가 이회사에 기여할 것이 없다고 생각될 때, 퇴사를 하라고 한다. 공감한다. 그래서 항시 퇴사를 염두해두고 나의 가치가 회사를 떼어내고 온전히 존재하도록 나 자신의 모습을 남겨놓는 것이 브랜딩이라고 생각한다. 브랜딩이라는 것이 현대 사회에 자신을 알리거나 나라는 존재를 쌓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임에 분명하다. 아직은 나의 마음에 온전히 들지 않는 보수를 받고 있지만, 나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의 배움과 내 시간을 통해 배운 것들이 시너지가 나고 있고 앞으로 그것들이 몇 배는 더 시너지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상은 항상 실력에 비해 높을 수 밖에 없다. 이상만 좇다보면 현실과의 괴리로 망상에 허우적대게 되고, 현실에만 안주하다보면 매너리즘에 빠져 발전이 없다. 두 가지의 중심을 찾아 적당한 속도로 발전도 하고, 현실을 직시하여 목표를 설정한 뒤 발전 속도만큼 이상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간극은 존재한다. 그 간극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함께 성장해 나가는 것이 삶을 재미있게 살며, 앞으로 나아가게 해주는 원동력될 것이다.